주절주절

[펌]Network관련 용어 정리

부풍 2011. 4. 10. 17:34

출처 블로그>찬미네 서빈이 kingseft | kingseft

원문 http://blog.naver.com/kingseft/140004622674

  Network 관련 용어 정리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입니까?
인트라넷(IntraNet)이란 무엇입니까?
WWW(World Wide Web)이란 무엇입니까?
웹 브라우저(Web Browser)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란 무엇입니까?
웹마스터(Webmaster)가 하는 일은 무엇입니까?
웹마스터/웹디자이너/웹프로그래머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Hacker(해커)란 무엇입니까?

IP(Internet Protocol)란 무엇입니까?
IP(Information Provider)사업이란 무엇입니까?
CP(Content Provider)란 무엇입니까?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란 무엇입니까?
도메인(Domain)이란 무엇입니까?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이란 어떤 곳입니까?

유닉스란 무엇입니까?
유닉스의 CHMOD 명령은 무엇입니까?
리눅스란 무엇입니까?
GNU(Gnu's Not Unix) 단체는 어떠한 곳입니까?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은 어떤 단체입니까?

RAM이란 무엇이며 컴퓨터에서 어떠한 역할을 합니까?
CPU란 무엇이며 컴퓨터에서 어떠한 역할을 합니까?
FDD/HDD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윈도우즈의 '윈도우탐색기'란 무엇입니까?


TCP/IP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IP어드레스의 설치값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의 설치값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게이트웨이(Gateway)에 설치값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가상IP와 고정IP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LAN(Local Area Network)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LAN카드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허브(HUB)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합니까?
라우터(Router)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합니까?
▣ DSU, FDSU, CSU 장비란 어떤 것입니까?
UTP케이블과 BNC케이블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전용선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광케이블을 이용한 전용선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비대칭전용가입자전용회선(ADSL)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ISP업체에 대하여 아는데로 나열하십시요?
인터넷 URL이란 무엇입니까?
KRNIC/코넷/보라넷/두루넷/하나로통신의 URL은 무엇입니까?
웹호스팅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CALS 전자상거래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CALS 의 정의              
       CALS 의 역사   
       CALS의 구조   CALS의 발전단계    CALS의 기대효과 
  전자상거래(EC)의 정의   전자상거래(EC)의 발전단계     미래의 전자상거래

전자화폐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전자지불에 관련된 제품
보안과 해당 솔루션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보안/인증에 관한 솔루션
그룹웨어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그룹웨어를 개발하는 회사

전용회선 56K 서비스 가격 비교
전용회선 서비스 업체 URL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WWW서버에 대하여 종류들과 역할을 설명하십시요?
    
Apache Server     NCSA Server     CERN Server     Apache-SSL Server     Netscape Server

FTP서버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뉴스서버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BBS와 뉴스 그룹의 차이점
  
끊임없이 확산된다. 마음대로 지울 수 없다. 로그인할 필요가 없다쓰레드는 관련된 메시지를 함께 표시한다.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텔넷(TelNet)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DHCP서버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오?
    
DHCP Server service 설치하기    Server List에 Server추가하기      Scope 정의하기     Reserving IP addresses

메일서버의 종류와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EMWAC 메일서버의 설치과정과 메일링서비스 설정방법 대하여 설명하십시요?
   
EMWAC Mail Server의 개요     EMWAC 메일 서버의 요구 사항  
   
EMWAC 설치 방법                 EMWAC 환경설정 방법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입니까?      top

인터넷 / Internet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1969년에 미국방 정보용 ARPANET이 발전되어 전세계적으로 하나의 망으로 묶여 있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서로 기종이 다른 컴퓨터들 간의 통신을 위한 전송규약을 말한다. 일반 PC와 중형 호스트 사이 IBM PC와 MAC 사이, 서로 회사가 다른 중대형 컴퓨터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케 해주는 역할. (컴퓨터 네트워크 간의 정보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총칭으로 쓰이고 FTP, Telnet, SMTP등을 포함한다.)
    TCP는 데이타를 Packet으로 나누고 IP에 의해서 전송되며 전송된 Packet은 TCP에 의해서 다시 묶여짐.
    TCP/IP는 원래 1960년대 말 미 국방성에 정한 컴퓨터와 네트워크 통신 표준을 지칭하며 그 후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인 인터넷상에서 이기종간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서 존재한다.

Protocol / 프로토콜
    
네트워크상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데이타를 주고 받을 것인가에 대해서 약속한 규약
예) 교통 신호등 = 사회적 규약 (통신에도 이러한 교통 신호등에 의한 약속처럼 쌍방간 정해진 절차와 형태가 존재한다.)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
    
알파 통신망이라고도 하며 1960년대에 미국의 대학과 연구소 사이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미국 국방성에서 수행한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통신망을 말한다. 현재 인터넷의 모체가 된 ARPANET에는 약 60,000여개의 중형 컴퓨터와 대형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다.
    초기 네트웍 연구의 근간이 되고, 동시에 인터네트의 백본 (backbone)이 됨. ARPAnet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네트웍이 아니고 전용선에 의해 상호 연결된 패킷망이다.

Backbone
    전산망에서 근간이 되는 네트워크 부분을 연결시켜 주는 고속 전산망.
    계층적 네트워크의 최상위 레벨로 중계 네트워크는 내부 접속을 보증받고 있다.

Internet2 / 인터넷2
  인터넷(Internet) 2는 미국 클린턴 정부가 「차세대 인터넷(NGI:Next Generation Internet)」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는 대용량 백본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 나라로 비유하자면 초고속 국가망에 해당한다.
 
  기존 인터넷망은 백본망에서 6백Mbps급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도 POP(Points of Presence)에서 1Mbps급으로 뚝 떨어지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인터넷2는 POP에서 최소한 1백Mbps급의 전송속도를 보장,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작된 프로젝트다. 인터넷 2는 광섬유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일반 모뎀에 비해 8만5천배 빠른 초당 2.4기가비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인터넷 2 프로젝트는 1996년 10월부터 백악관과 민간기업, 1백20여개 대학이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학술연구망의 필요성에서 자발적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NGI 사업과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인터넷 2 네트워크는 1998년 4월 앨 고어 부통령에 의해 제안됐으며 민간 투자와 대학에서의 대규모 투자 도움을 받아 5년 기한으로 어드밴스트 인터넷 디벨로프먼트가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향후 이 백본망에 인터넷 2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 기존의 고등연구소 및 교육망뿐만 아니라 공공기관도 함께 연동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기존 텍스트 기반의 인터넷이 멀티미디어 기반으로 빠르게 변모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터넷의 새로운 이용 분야도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런 프로젝트의 기술 발전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지구상의 인터넷 속도 및 개인 컴퓨터 네트워크의 속도를 크게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정보통신신문19990201>

인트라넷(IntraNet)이란 무엇입니까?         top

  인트라넷은 인터넷의 소프트웨어 표준을 기업내 네트워크로까지 확대한 네트워크로 쉽게 말해 개방성이 특징인 인터넷에 보안성을 강화하는 한편 정보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부가한 기업전용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인터넷과 같은 저렴한 이용요금으로 편리하게 세계 각지에 흩어진 지사를 연결,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채팅기능이 없는 서버를 설치했더라도 채팅기능이 있는 다른 회사 제품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일반 소비자에게 제품관련 정보를 서비스하는 등 선택적인 정보제공 기회를 부여하기도 한다.
    인트라넷 환경에서 구현해야 할 주요 기능들로는 그룹 캘린터링과 스케줄링, 그룹 혹은 분산 프로젝트관리, 화상회의, 회사내소식지, 분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기능, 공동작업 정보에 대한 접근기능, 집단문서편집 및 관리기능 등이 있다.     인터넷에 뿌리를 둔 인트라넷은 기업용으로는 반드시 갖춰야 할 몇가지 필요조건들을 갖추지 못했는데 현재 인트라넷에서 가장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방화벽 및 암호화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보장해 주는 장비들이다.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대두된 것이 인트라넷으로 기존 사무실 환경의 그룹웨어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인터넷과 동일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무실 내의 네트워크를 인트라넷이라 한다. 그룹웨어는 사용자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번거로움과 업그레이드시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었지만 인트라넷을 이용하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웹브라우저로 인트라넷을 사용한다. 자연스럽게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 중 하나이다. 인트라넷은 인터넷의 대중화와 웹브라우저의 기능 향상, TCP/IP를 기반으로 한 응용 프로그램의 확충으로 더욱 그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인트라넷이 부각되면서 여기저기서 인트라넷 애플리케이션을 내놓고 있지만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라 부를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그리 많지 않다. 다만 몇몇 업체들이 기존의 인터넷 제품이나 그룹웨어 제품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선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주)아이소프트에서도 "@Office"라는 인트라넷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고 있다.

WWW(World Wide Web)이란 무엇입니까?         top

   WWW는 1989년 스위스 소재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처음 제안되어, 초기에는 전세계 물리학자들과 연구소, 기관들이 서로 연구논문이나 아이디어 등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었습니다. 이후 미국의 NCSA에서 국가적 차원의 프로젝트로 WWW 전용 인터페이스가 연구되었고, 93년을 기점으로 하여 이 연구결과가 세계적으로 공개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선보이기 시작해 WWW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웹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그래픽 환경이 기본이고, 또한 기존 인터넷의 여러 자원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NCSA (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
   슈퍼컴퓨터 응용을 위한 연방센터다. 최초의 웹 브라우저 Mosaic가 만들어진 국립 슈퍼 응용 연구소인 이 기관은 고수준의 공학과 기술 발전을 위해 연구와 개발을 지원하는 미국의 정부 투자 기관이다.
   WWW 브라우저인 NCSA Mosaic, NCSA Telnet 등 네트워크 관련 통신 프로그램 및 과학 분야의 공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배포한다.

MOSAIC
   
1986년 1월에 설립된 일리노이 대학내의 NCSA(National Center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에서 Web 검색을 위해 제작된 Web 브라우징 프로그램 입니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top

   html을 해석할 수 있는 모든 도구. 클라인트의 인터프리터

Web browser /  Browser / 브라우저
    
Browser(브라우저)는 인터넷에서 웹을 항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web browser라고도 한다. 월드와이드웹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 주요 이유는 사용하기 편리한 브라우저가 나오면서 부터다. 브라우저란 웹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전송 받아와서 화면에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브라우즈(brows)의 원래 뜻은 책 따위를 펼쳐보다는 뜻이다. 즉 책을 군데군데 펼쳐보는 것을 브라우즈 한다고 할 수 있다. 비슷하게 웹에서 여러 문서들을 잠깐식 펼쳐보는 도구라는 뜻으로 브라우저라고 한 것이다.

웹 브라우저 종류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NCSA 모자익
    컴퓨서브, 프로디지, 아메리카 온라인  등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란 무엇입니까?       top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한 표기 언어 체계를 말한다. HTML은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내부적인 형식을 규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HTML로 만들어진 하이퍼텍스트 언어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언제나 불러 볼 수 있다.
    
    HTTP는 1989년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에 의해 처음 설계되었고 인터넷 기반에서 하이퍼미디어의 광역적인 정보공유를 위한 프로토콜로 개발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분산되어 있으면서 빠른 전달 속도를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합한 하이퍼 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http://www.ibm.com”이라는 주소를 사용하는데, 이때 맨 앞에 나타나는 http는 하이퍼 텍스트 문서의 교환을 HTTP라는 통신 규약을 사용하라는 의미를 가진다.
   HTTP는 하이퍼 텍스트 문서의 교환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춘 통신 규약이기 때문에, HTML을 사용해 작성된 웹 페이지의 하이퍼 텍스트 문서 정보를 교환하려면 HTTP라는 통신규약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미디어 방식을 지원해 주는 일종의 통신 규약이다.

Hypertext (하이퍼텍스트)
    
특정 데이터 항목이 다른 문서와 링크 관계를 가지고 있는 문서를 가리킴. (하나의 문서에서 특정 항목(부분)을 선택하면 그와 관련된 문서로 연결되어 계속 정보를 볼 수 있다.)

웹마스터(Webmaster)가 하는 일은 무엇입니까?         top

   광의의 의미로 볼때 웹서버 구축 및 관리와 홈페이지 운영 전반에 걸쳐 실무적인 책임을 지는 개인 또는 팀을 웹마스터라고 한다. 웹마스터는 웹관리자(webadmin, webadministrator)라고도 하며 웹매니저라고도 불려진다. 웹관리자의 의미는 기술적인 부분에 좀더 비중을 두고 있는 사이트에서, 웹매니저는 웹컨텐트와 디자인 등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사이트에서 불려 지고 있다.
    웹마스터를 개념적으로 조금 더 세분화하면 웹서버 구축 및 운영에 대한 기술적인 책임을 지고 새로운 웹기술을 적용을 주로 책임지는 웹엔지니어와 홈페이지 운영과 컨텐트 선택 및 디자인 전반에 대한 책임을 웹프로듀서로 나눌 수 있다.
  웹엔지니어는 웹의 신기술을 습득하고 적용하고 테스트하는 일을 주로 하며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다. 웹프로듀서는 기술적인 부분을 직접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확인된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컨텐트를 웹상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보여줄 것인가를 기획하고 결정하며 제공되는 정보를 계속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웹사이트가 구축목적에 맞게 발전해 가도록 관리하고 책임을 가진 사람으로 디자인에 대한 안목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웹프로듀서만 있는 사이트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은 외부인력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웹프로듀서 중에서 특별히 디자인 능력을 갖추고 디자인에 책임을 가진 사람을 웹디자이너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볼때 ISP나 홈페이지 제작업체 등에서는 웹엔지니어가 웹마스터의 역할을 수행 하고 일반기업체의 경우는 웹프로듀서가 웹마스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웹디자이너는 스스로 웹마스터라기보다는 팀조직으로 구성된 웹마스터의 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웹마스터 = 웹엔지니어 + 웹프로듀서 (<- 웹디자이너)
위와같은 정의로 볼 때 웹마스터는 최소한 웹엔지니어 한명과 웹프로듀서나 웹디자이너 한명으로 이루어진 팀이 될 때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웹마스터/웹디자이너/웹프로그래머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십시오?         top

웹마스터
  웹서버 구축 및 관리와 웹페이지 운영 전반에 걸쳐 실무적인 책임을 지는 개인이나 팀.

웹디자이너
  웹페이지 제작 및 구성의 디자인 분야를 전담하는 사람. 

웹프로그래머
  웹페이지에서 운영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사람.

웹엔지니어
  웹서버 구축 및 운영에 대한 기술적인 분야의 책임을 지는 사람.
  새로운 웹관련 기술의 적용에 대한 책임 

웹프로듀서
  웹페이지 운영 전반에 관한 책임, 서비스 내용에 대한 기획을 하는 사람.

웹메니저
  웹컨텐트와 디자인에 비중을 두고 책임을 지는 사람. 

Hacker(해커)란 무엇입니까?        top

  컴퓨터 시스템 혹은 네트워크의 세부적인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능숙한 프로그 래머). 종종 다른 시스템에 침입하거나 파괴하는 사람이라는 나 쁜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원래 이처럼 부정적인 의미 에는 'cracker(크래커)'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컴퓨터 기술에 뛰어난 사람으로 컴퓨터에 중독된 매니어를 상식적으로 해커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침투하여 불법적인 일을 하는 사람을 해커라고 한다.

Cracker (크래커)
  Cracker란 컴퓨터 시스템에 무단으로 접근을 시도하는 개인을 말하는데, 해커(hacker)와는 달리 악의적인 경우가 많으며 시스템을 파괴하는 많은 방법을 알고 있다.

IP(Internet Protocol)란 무엇입니까?          top

 인터넷 프로토콜이란 인터넷상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통신망들을 서로 연결하는 규칙을 말한다.

 IP address(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마침표로 구분된 네개의 숫자로 표시된다. 이 숫자 하나하나는 NIC에서 부여받으며 네트웍의 규모에 따라 등급이 주어진다.
    인터넷상의 컴퓨터들을 식별하기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컴퓨터)에 주어지는 32bit의 숫자조합으로 표현된 주소. 문자주소인 도메인 네임과 달리 숫자를 사용하며 실질적으로 컴퓨터가 인식하게 되는 주소이다.

 IP address(Internet protocol address) 부여방식
예) IP address : 202.30.64.21
      Domain      : www.krnic.net

32 ~ 25 bit

구분자

24 ~ 10 bit

구분자

16 ~ 9 bit

구분자

8 ~ 1 bit

202

.

30

.

64

.

24


 
IP and the OSI Reference Model

Addressing

IP의 기본적인 목적은 네트웍들의 연결들을 통하여 데이타그램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데이타그램은 해석된 인터넷 어드레스를 기본으로 하여 어떤 인터넷 모듈에서 다른 각각의 네트웍들로 라우팅된다. 그래서 IP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인터넷 어드레스를 인식하고 수행하는 것이다.

Class A Address Format

그림 1. IP Class A Address Format

A Class 네트웍 어드레스는 0인 최상의 우선순위 비트셋과 7비트의 네트웍번호, 24비트의 로컬 호스트 어드레스를 갖는다.

Class B Address Format

그림 2. IP Class B Address Format

B Class 네트웍 어드레스는 두개의 우선순위 비트셋 1-0과 14비트의 네트웍 번호, 16 비트의 로컬 호스트 어드레스를 갖는다.

Class C Address Format

그림 3. IP Class C Address Format

C Class 네트웍 어드레스는 3개의 우선순위 명령비트셋과 21비트의 네트웍번호, 8비트의 로컬 호스트 어드레스를 갖는다.

Class D Address Format

그림 4. IP Class D Address Format

어드레스의 4번째 형식인 D class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로 이용된다. 4개의 우선순위 명령어 비트는 1-1-1-0 이다. 

IP(Information Provider)사업이란 무엇입니까?         top

  정보제공자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모든것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네트웨크에서 제공하는 사업.
  정보 제공자라는 뜻으로 통신망을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일정한 사용료를 받아서 운영하는 업체를 말한다.

CP(Content Provider)란 무엇입니까?        top

  CP(Content Provider)는 컨텐트 제공업체라는 뜻으로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뉴스와 정보들을 제공하는 업체를 말한다. 컨텐트 제공업체가 자신의 컨텐트를 직접 운영할 때에는 별도의 부담없이 정보를 늘릴 수 있고 고품질의 정보제공을 할 수 있다.
 CP 서비스의 기반이 인터넷으로 전환됨에 따라 특정 서비스를 통해 컨텐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전문성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굳이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는 컨텐트 일괄 관리방식을 택할 필요가 없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란 무엇입니까?          top

  인터넷 이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회사와 기관을 말한다.
  옛날에는 주요 대학에 속해 있거나 미 국방성 기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를 이용하면 쉽고 편리하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들은 서버 네트워크(메일, 뉴스, 웹)와 라우터 그리고 고속 인터넷 "백본"망에 연결된 모뎀을 가지고 있다. 가입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나 도메인명 또는 유닉스를 배울 필요 없이 지역 네트워크로 전화만 걸면 된다.  

우리나라 isp업체는 한국통신(코넷), 데이콤(보라넷) 등이 있다.

도메인(Domain)이란 무엇입니까?       top

  도메인이란 인터넷 주소(인터넷 호스트 컴퓨터가 할당 받은 주소)를 가리키는 말로서 IP Address와 Domain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터넷 호스트 컴퓨터가 할당 받은 주소는 본래 숫자로 만들어졌고 이를 가리켜 IP Address라고 한다. (예:203.255.112.1) 그런데 사람들은 숫자로 된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고 사용하기도 불편하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문자로 된 주소(Domain Name)을 사용하고 있다. 즉 203.255.112.1 이라는 주소는 sol.inet.co.kr (=sol.nuri.net)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가지며, 컴퓨터 이름, 단체 이름, 부속 도메인, 최상위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상위 도메인이란 국가 코드를 나타내고, 부속 도메인은 해당 주소의 성격을 가리킨다. 단체와 컴퓨터 이름은 해당 기관이 임의로 만든 것이다.
    인터넷의 주소를 표시하는 이름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이름, 조직이름, 조직의 종류, 국가 이름이 각각 도트에 의해 구분돼 있다.

 Domain name
    전자 메일 주소에서 @ 문자의 오른쪽에, URL의 앞에서 10자쯤 뒤에 도메인명이 있다.
CNET의 도메인명은 cnet.com이다. daemous@pentagon.io.com의 도메인명은 io.com이다.
     도메인명은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에서 유래된 것인데, 도메인이
기업이나 회사(.com),
교육기관(.edu),
정부기관(.gov),
군사기관(.mil),
네트워크(.net),
비영리단체(.org)에 따라 각기 다른 확장자를 붙인다.
    어떤 도메인은 지역에 따른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예를들어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에 있다면 well.sf.ca.us와 같이).  
DNS(domain name system)
  전자 메일을 보내거나 브라우저로 cnet.com과 같은 어떤 인터넷 도메인으로 가려 할때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이름을 인터넷 주소(다음과 같은 모양의 숫자 배열이다: 123.123.23.2)로 번역하는 역할을 한다. 이 용어는 네이밍 호스트가 모인것 또는, 인터넷에서 이름이 처리되는 방식의 두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DNS Server (Domain Name Server)
    도메인 이름에서 IP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DNS 서버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로 어떤 DNS 서버에서 IP 어드레스를 알지 못하면 상위의 DNS 서버를 검색하게 된다.
    인터넷을 경유해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메일 서버 이름을 DNS 서버에 등록해야 한다.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이란 어떤 곳입니까?        top

  이름(도메인명)은 "유일"해야 하기 때문에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역할을 하며 중재를 하는 곳이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이다.     
    다앙한 정보 자원이 산재해 있는 인터넷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망정보센타로 네트워크단위뿐 아니라 국가별 대륙별로 편성되어 광범위한 정보의 제공 및 조정을 담당한다.
  KRNIC은 한국 망정보센타로 인터넷에 있어서 한국을 대표하는 조직이다.
  IP주소할당, 도메인 등록등의 등록서비스외에 정보서비스, 디렉토리 및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수행한다

INTER NIC
  국제적인 인터넷의 네임 서비스 및 망 관리를 담당하는 기구.
   .com, .net, .edu, .org, .gov등을 관리 

KRNIC (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KRNIC에서는 국내 인터넷의 기능 유지와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인터넷 이용 기관을 위한 IP주소 및 도메인 등록 서비스를 수행하고, 주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는 한국을 대표한 인터넷 공식 기구로, 상위 인터넷 정보센터 (APNIC)와 정보교환, 업무협력, 기술 교류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co.kr, .nm.kr, .go.kr, .ac.kr, .or.kr등을 관리
    한국 전산원 (KRNIC)에서 담당한다.

APNIC(Asia 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er)
   태평양 지역 인터넷의 네임 서비스 및 망 관리를 담당하는 기구.
 

유닉스란 무엇입니까?         top

   멀틱스(Multics: 1960년대 벨연구소에서 사용된 실험용 시간공유 운영시스템)에서 그 이름을 따온 유닉스는 일반 운영시스템으로 1970년대 초에 선보였다. 많은 인터넷에서 유닉스를 사용했기에 OS도 1990년대 초에 유닉스를 채택했다. 유닉스는 Xenix, Ultrix, GNU와 Linux 같이 비슷한 형태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되고 있 다. 이는 광범위한 토론을 만들어 냈다. 하지만 진짜 논쟁거리는 어떻게 그 단어를 표기하느 냐이다.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할 것인가(Unix) 아니면 모두 대문자로 할 것인가(UNIX). 운영 체제 그 자체가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에 그 논쟁도 격해졌다. 벨연구소만 대문자로 된 유닉스를 상표로 등록했고 나머지는 임의적이다.

   UNIX는 미국의 AT&T 벨연구소에서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걸쳐 개발한 컴퓨터 OS(Operating System)로 1978년에 AT&T가 처음으로 상품화하였으며, 그후 몇번 개량된 버전이 나와 미니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공통 OS로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다.
 
 UNIX가 이처럼 시장셰어를 크게 확장해오고 있으며 워크스테이션이나 미니컴의 대부분이 이 OS를 채용하고 있고 PC를 비롯하여 메인프레임에도 채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1.UNIX시스템의 소소코드가 모두 공개되어 있고
  2.단순한 파일구조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OS전체가 단순하며
  3.표준 입출력을 통해 복수의 프로그램이나 코맨드를 조합해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기능이 있으며
 4.프로그램 가능한 코맨드 인터프리터(shell)에 의해 쉽게 기능을 추가.확장할 수 있다는 것으로 자유롭게 조합이 가능한 손쉬운 코맨드를 풍부하게 제공한 것이 UNIX의 성공비결이다.

유닉스의 역사
 유닉스는 워크스테이션 이상급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계다. 시스템간 이식이 까다롭고 어려운 코맨드를 익혀야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지만 오랜 세월 동안 프로그래머들에게 개선보완돼 성능면에서 가장 뛰어난 OS중의 하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강력한 네트워킹, 보안기능을 바탕으로 윈도NT가 등장하기 이전까지만해도 유닉스는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의 독보적인 OS로 인식되고 있었다.
  유닉스는 60년대 AT&T의 부설연구소인 벨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컴퓨터 과학자 켄 톰슨(Ken Thompson)이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켄 톰슨은 「Space wars」라는 비디오게임을 만들던 중 강력한 OS에 대한 필요를 느끼고 유닉스를 개발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후 동료 엔지니어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가 B언어를 기반으로한 C언어를 개발해 프로그래머들에게 관심을 끌게된다. C언어는 어셈블리어에 비견해 소스코드를 이해하는 것이 쉬웠으며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식도 강력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기계어이자 낮은레벨 언어인 C를 이용해 유닉스를 다시 만들것을 제안해 결국 유닉스의 기본적인 구조부분을 C언어로 개작해냈다.
 유닉스의 보급에는 소스코드의 무상공개라는 점이 커다란 작용을 했다. 실제로 벨연구소는 이들이 C언어를 기반으로 개발한 유닉스의 소스코드를 공개해 많은 전산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한편 1978년 버클리대학 대학원생들이 이 소스코드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처리 능력과메모리 관리시스템을 포함시킨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유닉스를 개발해 냈다.
 1993년에는 유닉스의 표준화를 모색하기위해 설립된 OSF, UI등을 중심으로 70여 유닉스 관련업체가 공동으로 SVR4을 제정했다. SVR4는 이기종간의 상호호환성 증진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개방형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실현한 표준이다. 실제로 현재의 유닉스 표준은 SVR4를기준으로 하고 있다.

유닉스의 CHMOD 명령은 무엇입니까?           top

  유닉스 환경하에서 file이나 디렉토리를 엑세스하는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파일시스템에는 3가지의 모드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는데, 그 파일을 최초에 만든사람, 그 사람이 소속된 그룹, 그리고 손님의 경우이다. 이 모드는 각기 쓰기권한, 읽기권한, 실행권한으로 세분화되며 각기 해당하는 값을 갖고 있고, 이 값을 더한 값으로 파일의 모드를 설정한다.

각 모드와 권한의 값

 

그룹

본인

손님

읽기(r)

400

40

4

쓰기(w)

200

20

2

실행(x)

100

10

1


예제>

[cjsong@my cjsong]$ ls -al
total 111
drwxr-xr-x   7 cjsong   bin          1024 May 27 13:50 ./
drwxr-xr-x 1137 root     root        18432 May 24 11:27 ../
-rw-r--r--   1 cjsong   users         866 May 21 08:45 .bash_history
-rw-r--r--   1 cjsong   users        2786 Apr 15 12:46 about.htm
drwxr-xr-x   2 cjsong   users        1024 Feb 25 21:43 backup/
drwxr-xr-x   7 cjsong   users        1024 Dec 29 00:49 dba/
-rw-r--r--   1 cjsong   users        4081 May 21 09:09 dba.htm
-rw-r--r--   1 cjsong   users        1579 Apr 27 17:20 filedown.htm
-rw-r--r--   1 cjsong   users        6331 May 27 13:50 home.htm
drwxr-xr-x   2 cjsong   users        1024 May 27 13:50 images/
-rw-r--r--   1 cjsong   users         664 Jan 25 23:19 index.html
-rw-r--r--   1 cjsong   users        5333 Apr 15 12:46 link.htm
-rw-r--r--   1 cjsong   users        2205 May 27 13:50 menu.htm
-rw-r--r--   1 cjsong   users       17744 Feb 25 21:28 ocp.htm
-rw-r--r--   1 cjsong   users        3753 Feb  9 06:19 ocp_dba.htm
-rw-r--r--   1 cjsong   users        3217 Feb 25 21:28 sitemap.htm
-rw-r--r--   1 cjsong   users       12780 May  3 11:05 skill.htm
-rw-r--r--   1 cjsong   users         121 May 14 07:58 test.pl
drwxr-xr-x   3 cjsong   users        1024 Feb 25 21:30 tip/
-rw-r--r--   1 cjsong   users         989 Feb 25 21:28 tip.htm
drwxr-xr-x   2 cjsong   users        1024 May 27 13:49 webmaster/
-rw-r--r--   1 cjsong   users       14997 May 27 13:56 webmaster.htm
[cjsong@my cjsong]$                                                  

 

리눅스란 무엇입니까?      top

  리눅스(Linux)란 워크스테이션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체제. 현재 있는 어떤 운영 시스템도 마음에 안든 다면 어떻게 하겠나? 물론 자체적으로 하나 만들 수 있다. 바로 라이너스 토발즈(Linus Tornados)가 그랬다. 그가 만든 유닉스 버전, 리눅스(Linux)는 인텔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여 무료로 공급되어 전세계 수십 수백만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리눅스는 운용시스템으로서 처음 컴퓨터광들의 장난감 정도로 사용되었다가 차츰 기업에서도 비싼 유닉스 웹 서버 대용품으로 애용되기 시작했다.
  중대형급 이상에서 사용되는 유닉스와는 달리 386급 PC에